Ⅲ편 1910년대
전반기 자바이깔 지역 재러한인의 민족운동
1장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의 성립과 활동
1910년대 러시아지역의 한인독립운동은 크게 두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한 지역은 블라지보스또크(海蔘威), 하바로브스크 등을 포함하는 沿黑龍州 지역이며, 또 한 지역은 치따(ܧܸ݂ܰ), 이르꾸쯔크 등을 중심으로 하는 자바이칼(ܗܱܹܻܸܹܰܰܺܰ݁ܺ ܚܹ݀ܰ 後貝加爾州) 지역이다. 그런데 우리에게 흔히 알려진 지역은 勸業會가 활동한 연흑룡주일뿐, 자바이깔지역의 민족독립운동에 대하여는 전혀 알려지고 있지 않다. 다만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그곳에서 조직된 이르꾸쯔크파 공산당만이 널리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지역의 공산주의 운동사를 민족운동사적 시각에서 올바로 바라보기 위해서도 혁명이전 시기 이 지역의 민족독립운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구한말부터 1914년 1차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이전까지 자바이깔지역에서도 활발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단체가 바로 미주에 본부를 두고 있던 大韓人國民會의 시베리아지방총회(이하 시베리아총회로 약함)인 것이다. 이 단체는 1911년에 李剛, 鄭在寬 등에 의하여 치따에서 조직되어 1915년 러시아에 의하여 단체가 해산당할 때까지 5년동안 자바이깔지역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1914년에는 옴스크, 馱스크, 이르꾸쯔크 등지에 21개 지방회를 관할하고 있을 정도로 넒은 조직망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1910년대 전반기에는 권업회와 함께 러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이 단체에 대하여 거의 주목하지 못하였다.